728x90 728x90 초고령사회(노후+건강+보험+의료)+저출산74 [보험] 올해(24년) 7월부터 실손 비급여 많이 타가면 실손보험료 할증된다. 2024년 달라지는 보험 제도에 따르면 가입자 간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4세대 실손보험 보험료는 최대 300% 할증되거나 할인받을 수 있는 차등제를 올해 7월에 시행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직전 1년 동안 실손 비급여 지급액이 100만 원 미만은 기존 보험료 변동이 없고, 100만 원 이상~ 150만 원 미만은 100% 할증 적용, 150만 원 이상~ 300만 원 미만은 200% 할증 적용, 300만 원 이상은 300% 할증이 적용됩니다. 그리고 직전 1년 동안 실손보험금을 한 푼도 타지 않으면 보험료 할인이 적용됩니다. 다만, 암, 심장, 뇌혈관, 희귀 난치성 질환 등 산정특례 대상 질환으로 인한 의료비와 노인 장기 요양 1~2 등급자는 예외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4세대 실손.. 2024. 1. 7. [건강 #3] 전립선암, 남성 암 3위이며 최근 5년 내에 40% 증가⬆️ 전립선암은 OECD(경제개발 협력 기구) 회원국에서 남성 암 발병률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남성 암 3위를 기록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남성 40대 이상은 34%가 전립선암 검진법을 모른다고 응답했으며, 전립선암 검사를 한 번도 받지 않은 남성의 응답자는 83%나 높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 전립선암은? 전립선은 전립선액을 생성, 분비하는 방광 아래에 위치한 밤알 크기의 남성 생식선인데... 이 부분에서 발생하는 것을 전립선암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전립선암은 초기에는 발견이 어렵고, 증상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배뇨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배뇨 증상은 소변을 본 후에도 시원하지 않고, 소변 줄기가 가늘어지고, 배뇨 시작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증상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이 배뇨.. 2023. 12. 27. 2024년 1월 1일부터 부모 육아휴직제도 개편이 된다. 현재 3+3 부모 육아휴직제에서 6+6 부모육아휴직제로 확대 개편하는 내용이 어제(12월 1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2022년부터 시행되었던 3+3 부모 육아휴직제는 생후 12개월 내의 자녀의 기준으로 부모 각자에게 첫 3개월간 1인당 지급 상한액을 월 200~300만 원 사이였습니다. (1개월 200만 원 / 2개월 250만 원 / 3개월 300만 원) 그 이후 3개월간 통상임금의 80%로 지급되며 월 150만 원 상한선이었습니다. 이 부분을 6+6 부모 육아휴직제로 확대 개편이 되는데요. 자녀 연령은 생후 12개월 이내에서 생후 18개월 이내 변경, 적용 기간은 첫 3개월+3개월(통상임금 80% 적용) -> 첫 6개월+6개월(통상임금 80% 적용) 변경됩니다. 그리고 육아 휴직.. 2023. 12. 20. 내년(2024년)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시스템 추진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보험업법 찬성과 반대 입장~ 최근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보험업법 개정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입장이 있어서 관련된 글을 쓰고자 합니다.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에 대한 이야기는 2009년에 나왔고, 이후 2015년부터 보험업계와 rance777.tistory.com 9월 중순쯤에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보험업법 찬성과 반대 입장이라는 글을 포스팅했었는데요~ 현재 알려진 실손보험금을 지난 3년간 연평균 2760억 원을 소비자들이 청구하지 않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었고, 실손보험금 청구 절차가 번거롭다 보니 받아야 하는 보험금이 소액이면 청구를 포기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병원 방문 후 서류 발급, 제출 과정이 번거롭기도 합니다. 또한, 이와 관련한 내용이 최근에 추가적으로 나와서 알려.. 2023. 12. 18. [건강보험] 내년(2024년) 3월부터 외국인 국내 6개월 체류해야 의료보험 혜택 적용이 된다. - 건강보험 피부양자: 직장에 다니는 자녀나 가족에게 생계를 의존하는 사람 그동안 외국인도 국내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가 되기 위한 별도의 거주 기간이나 체류 자격 등이 필요하지 않아서 이를 악용하여 일부 외국인들이 단기 입국해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로 이름을 올린 뒤, 필요한 치료나 수술을 받고 출국하는 것이 가능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난해 기준 중국 국적자인 건강보험에서는 229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고, 외국인에게 5560억 원의 흑자를 냈다고 하네요~ 외국인들은 우리나라에 살면서 받는 의료 혜택보다 건강보험에 가입해 내는 보험료가 더 많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중국판 인스타그램인 '샤오홍슈' 앱에서는 한국의 건강보험 제도를 이용해 본전을 뽑을 수 있다는 내용의 동영상이 .. 2023. 12. 17. [건강 #2] 우유 주 3회 마시면 좋은점 (feat.심혈관 질환 예방) 우유 가격이 올해(23년) 10월부터 원유 기본가격이 L당 88원이 오르면서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의 기본 가격이 996원에서 1084원이 됩니다. 우유 가격은 올라가지만 우유를 마시면 대사증후군과 심근경색, 협심증 등 관상동맥 심장질환 예방에 뛰어나다는 연구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40대 이상인 분들은 우유를 주 3회 이상 마시면 심혈관 질환 예방에도 도움이 되고, 칼슘, 단백질, 비타민A 등 영양소 섭취상태가 좋았다고 합니다. 성인 기준으로는 하루 우유 권장량은 200ml라고 하네요~ 그리고 기본 우유 100ml 당 60~65kcal이고, 저지방 우유 100ml 당 40kcal이고, 무지방 우유 100ml 당 30kcal입니다. 다이어트와 체중 관리를 하시는 분들은 고려해서 우유 섭취를 하시는.. 2023. 10. 19. [건강 #1] 눈이 침침하고, 시력이 떨어질 때... 보내는 신호!!! 눈이 침침하고, 시력이 떨어지는 것 같아도 그러려니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눈을 방치하다가 문제를 발견할 때는 늦은 경우가 있는데요~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 미세먼지, 노화나 자외선 등으로 현대인의 눈 건강은 심각하게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눈 관리에도 골든타임이 있다고 합니다. 그중에서 황반 변성, 백내장, 녹내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황반 변성 황반은 망막에서 시력을 담당하는 시상세포가 모여 있는 매우 중요한 기관입니다. 황반에 이상이 생기면 우선 시력이 떨어진다고 하네요~ 심할 경우에는 시력을 잃게 될 수 있습니다ㅠ; 황반변성의 대표적 증상은 글자나 사물을 볼 때 까맣게 가려지는 공백이 생기거나 사물이 찌그러진 형태로 보이는 것입니다. 이런 증상이 생기기 전에 눈 .. 2023. 9. 30.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보험업법 찬성과 반대 입장~ 최근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보험업법 개정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입장이 있어서 관련된 글을 쓰고자 합니다.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에 대한 이야기는 2009년에 나왔고, 이후 2015년부터 보험업계와 금융당국 등이 시스템 마련에 나섰으나 개인 정보 유출을 이유로 의료계가 반대해 왔습니다 그리고 9월 13일 국회에서는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에 대한 보험업법 개정안에 대해서 여야 간 합의가 되지 않아서 통과되지 못했습니다. 또한, 금융위 관계자 중에서는 다음 회의에서는 통과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또 다른 의견은 추가 논의를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의료계가 개정안에 반대하고 있어서 통과될지는 미지수라는 말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찬성하는 입장) 지난 3년간 연평균 2760억 원의 실손보험금을 소비자들이 청구하지.. 2023. 9. 17. 국민연금 개혁안 어떻게 흘러갈까?! (feat.국민연금 소득 대체율, 물가 상승률 반영) 국민연금 재정계산 위원회와 기금 운용 발전 전문위원회는 9월 1일 서울 코엑스에서 공청회를 열고 국민연금 제도 개선 방향, 기금 운용 부문 개선사항 보고서 초안을 공개했습니다. 이 초안에는 연금 지급 개시 연령, 기금 투자 수익률, 보험료율 3가지 변수에 대해 시나리오를 제시했습니다. 1998년 이후 9%를 유지한 보험료율을 12%, 15%, 18%로 각각 올리는 시나리오인데요~ 그리고 2025년부터 1년에 0.6%씩 5년간 올려서 보험료율을 12% 때는 기금 소진 시점이 2063년으로 늦춰지고, 10년은 15% 때는 2071년으로 늦춰지고, 15년은 18% 때는 2082년으로 늦춰지는 시나리오입니다. 현재는 1969년생 이후부터는 국민연금을 2033년인 '만 65세'에 받게 됩니다. 이 부분을 연금 지.. 2023. 9. 10. 국민연금 기존 수령 vs 조기 수령 어느 것이 나에게 유리할까?! 오늘은 국민연금을 기존 수령하는 게 나을지?! 조기 수령이 나을지에 대해 계산해 보려고 합니다. 1953~56년생) 노령연금 61세 / 조기 노령연금 56세 1957~60년생) 노령연금 62세 / 조기 노령연금 57세 1961~64년생) 노령연금 63세 / 조기 노령연금 58세 1965~68년생) 노령연금 64세 / 조기 노령연금 59세 1969년생 이후) 노령연금 65세 / 조기 노령연금 60세입니다. 그리고 현재 국민연금 수령은 만 나이로 나의 생일이 지난달의 기준으로 기존 수령 시 받고 있습니다. 조기 수령은 기존 수령보다 5년 일찍부터 가능한데요~!! 1969년생 이후부터는 조기 수령은 60세까지 늦춰진 상황에서 받게 됩니다. 또한, 국민연금 개정안이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국민연금을 고갈되지.. 2023. 2. 8. 국민연금 개정안 2023년도 예정~ 요즘 언론에서 국민연금을 2055년도 되면 못 받는 세대가 나온다는 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만큼 태어나는 아기는 적고, 노인 인구는 많아지는 현상이 발생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1953~56년생) 노령연금 61세 / 조기 노령연금 56세 1957~60년생) 노령연금 62세 / 조기 노령연금 57세 1961~64년생) 노령연금 63세 / 조기 노령연금 58세 1965~68년생) 노령연금 64세 / 조기 노령연금 59세 1969년생 이후) 노령연금 65세 / 조기 노령연금 60세입니다. 또한, 권문일 국민연금연구원장이 2월 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연금개혁의 방향이란 주제로 강연한 내용이 있습니다. 정년 연장 및 고령자 고용환경 개선 등을 통해 현 59세인 가입연령 상한을 64세까지로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 2023. 2. 5.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