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23년 11월 30일 목요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국내 기준금리를 7 연속 동결한 연 3.50%를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6개월 내에는 금리를 낮출 생각은 없고,
금통위 위원 6명 중 4명은 25bp 인상을 해야 되지 않느냐는 말이 나왔다고 합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2%까지 가는 기간은 2024년 말이나 2025년 초반 정도 되지 않을까라는 예측을 했습니다.
그리고
현 금리는 긴축적인 수준에 있어서 물가 상승률은 2~3달 동안은 내려갈 것으로 보고 있으며,
물가 반등은 일시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긴축적이냐 아니냐의 견해를 바꿀 그런 상황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현 수준에서 가계부채 절대액이 늘지 않는 정책을 펼치면 여러 문제가 생길 것이고,
성장률은 낮아지며 오히려 금융 불안이 일어날 것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아마도 디플레이션보다는 인플레이션 현상이 더 낫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 부동산 PF 상황에 대한 질문에는...
높은 금리가 앞으로 유지될 것이고,
부동산 PF 문제는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라서 건설회사가 문제가 생기면 하나하나 구조조정해야 하기에 큰 문제없이 잘 정리해 나가는 한 해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네요~
그리고
미국의 금리는 내년 하반기쯤 내리지 않을까라는 예측이 있었지만
최근 대표적인 매파로 분류되는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가 추가 금리 인상은 필요하지 않다는 말을 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 금리 인하가 내년 3월에 할 확률이 45%까지 올라갔다고 하네요~!!
그리고
경제 전문가들은 한은이 내년 상반기까지는 금리에 대한 고민을 하다가 미국의 통화정책 전환과 함께 내년 하반기부터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습니다.
.
.
흠...
한미 금리 역전차가 2%라서 미국이 금리를 내리더라도 우리나라는 금리를 안 내릴 것 같다는 생각을 했었는데요~
경제 전문가들의 말을 다시 생각해 보니...
미국이 금리를 생각보다 많이 내리면 우리나라도 내년 하반기에 금리를 내리는 상황이 나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 @.@
# 23.12.01
'돈의 흐름 > 경제 및 금융 , 4차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12월 미국 기준 금리 3연속 동결 (5.5%) (1) | 2023.12.15 |
---|---|
[금융] 자영업자, 소상공인 저금리 대환 대출 확대 예정 (1) | 2023.12.06 |
[금융] 국내 은행권 이자 수익 역대 최대... 이자로 번 돈 내놓으시오!!! (2) | 2023.11.26 |
23년 11월 미국 기준 금리 2연속 동결(5.5%) (1) | 2023.11.03 |
일론 머스크의 우주항공업체 스페이스X '스타링크' (1) | 2023.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