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4월 17일 자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 성장 둔화와 높은 인플레이션이라는 두 가지 위험성 , 혹은 스태그플레이션이 글로벌 경제에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그리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팬데믹 이후의 세계 경제 회복세를 지연시키고, 스태그플레이션이 올해 글로벌 경제를 강타할 것이라고 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
경제불황 속에서 물가상승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상태.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로, 정도가 심한 것을 슬럼프플레이션(slumpflation)이라고 한다.
terms.naver.com
그렇다면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일까요?!
스태그네이션(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물가상승: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모든 상품의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합성한 용어이며,
경제 불황 속에서 물가상승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상태라고 합니다.
경제 용어라서 참 어렵긴 한데요ㅠ
그리고 체감상으로 물가상승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경제 불황이 안 와야 하는데요~~
러시아 - 우크라이나의 장기간으로 전쟁이 이어지면...
우크라이나에서는 내년까지 농사를 못 짓게 됩니다.
그러면 현재도 곡물난이지만 내년에도 곡물 공급이 힘들어집니다.
그리고 곡물난이 이어지면서 밀, 콩, 옥수수 등 가격이 오르면...
가공 식품 가격도 오르고, 식당 음식 가격도 올라가게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러시아는 유가가 하락하지 않는 한... 현시점에서는 러시아는 큰 타격이 없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또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도 어느 정도 올라간다고 이야기가 나오지만...
러시아 - 우크라이나 장기간 전쟁도 미국 경제도 피할 수 없게 된다면...
미국 금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더 이상 올라갈지도 모릅니다.
미국 기준 금리가 오르면, 우리도 외국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금리를 올리게 되면...
대출을 많이 해서 아파트를 구입한 분들은 올라간 변동금리의 이자를 내지 못해서 그 아파트가 매물로 나오는 상황까지 벌어질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말이 조금씩 나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크라이나 - 러시아의 전쟁이 빨리 종결되지 않는다면...
겪지 않았던 최악의 상황이 올지도 모를 것 같네요~!!
그리고
최악의 상황이 안 오는 게 최선이겠죠?^^
그 상황이 안 나타나길 바랄 뿐입니다!!!
# 22.04.20
'돈의 흐름 > 경제 및 금융 , 4차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투자 소득세와 가상 자산(암호화폐) 2년간 과세 유예 (0) | 2022.06.18 |
---|---|
22년 5월 국내 기준금리 0.25% 인상 (0) | 2022.05.26 |
4월 1일 부터 전기 요금과 가스 요금 인상 (4) | 2022.04.04 |
국제 유가 그리고 전국 휘발유 평균 가격 리터당 2천 원 시대... 언제까지 갈까?! (0) | 2022.03.16 |
청년희망적금 해지 후 재가입 후기 (feat.신한은행) (2) | 2022.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