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유튜브 슈카월드에서 나온 1억으로 10억 아파트 사는 방법을 아시나요?!
그 이름은...
지분형 주담대(지분 투자 담보 대출)라고 합니다.
대출 대신 지분 투자를 받고 집을 사는 방식??이라고 하네요.
해당 되는 아파트는 지역마다 다른데요..
지역별 중위 가격을 기준으로...
서울은 10억 원, 경기도 6억 원, 지방은 4억 원 이하 주택만 허용할 방침이고,
거주 기간에는 제한이 없으며...
여윳돈이 더 생기면 2년마다 지분을 늘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분형 주담대 로드맵은 6월에 발표할 예정이고,
시행은 올해 하반기 목표이지만...
조기 대선 이후 당이 바뀌면 조정되거나 시행 안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다면
시행된다고 생각하고...
지방 4억 원 아파트 기준으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주택금융공사는 최대 40%, 1.6억 원을 대출이 아닌 투자를 하고,
LTV 최대 70%인 비규제 지역이면...
4억 원 - 1.6억 원(주택금융공사) = 2.4억 원 X 70% LTV => 1억 6800만원을 은행에서 빌릴 수 있음
현금은 7200만 원만 있으면...
지방에서 4억 아파트를 살 수 있는 구조라고 보면 됩니다.
월 나가는 이자 계산해보기)
첫 번째) 주택금융공사에서 지원해주는 최대 40%는 은행 이자율보다 싼 최대 연 2%정도라고 하네요.
1.6억 원 X 0.02% = 연 336만 원 / 12개월 = 월 28만 원 지출 됨!!!
두 번째) LTV 70%인 1억 6800원 연 이자 5% 계산
연 840만원 / 12개월 = 월 70만 원 지출 됨
28+70 = 매월 98만 원 지출된다고 가정이 되겠고,
8억 원 아파트면 이 금액에 2를 곱하면 되며..
10억 원 아파트면 이 금액에서 2.5를 곱하면 됩니다 @.@
(은행 대출 이자에 따라서 계산한 금액은 변동되고,
아파트 관리비까지 생각해야겠죠~)
이제 중요한 건...
아파트 가격이 올랐을 때 매도와 내려갔을 때의 매도일 겁니다.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 주택금융공사와 차익을 지분율대로 나눠 갖습니다.
반대로
아파트 가격이 내려가면 손실은 주택금융공사가 떠안는다고 하네요.
오호~~
아파트 가격이 하락해도 나의 투자금은 받을 수 있으니..
괜찮아 보이는데요^^
그리고
주택금융공사지분이 40%인지.. 50%인지는 명확하지 않아서...
6월에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면 알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흠...
이 정책이 나오면...
어느 쪽에서 수혜를 받을지 현재로서는 감이 오지 않습니다 @.@
# 25.04.25
728x90
반응형
'돈의 흐름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40]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안 2년 더 연장 (27.05.31까지~) (0) | 2025.04.21 |
---|---|
[부동산 #39] 올해(25년), 1억 미만 가계 대출도 은행 소득 심사 받도록 바뀐다. (0) | 2025.03.07 |
[부동산 #38] 외국인 집주인이 전세 사고 내면 바로 강제 경매된다!!! (0) | 2025.02.21 |
[부동산 #37] 올해(25년) 7월부터 전세 대출 보증도 소득, 기존 대출 따져 축소한다!!! (1) | 2025.02.16 |
중국산 철강 21% 잠정 관세 부과 예정!!! (0) | 2025.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