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22년 10월 12일, 0.5%(빅스텝) 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국내 기준 금리는 3%가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주택 담보대출 금리 인상은 예정이 되어 있는데요~
은행에서 대출을 많이 받은 분들은 이자를 더 많이 내야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거나 이자가 감당이 안 된다면 급매나 경매 물건으로 조금씩 쏟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4일 전에 부동산 시장의 안 좋은 기사가 나왔습니다.
2020년부터 올해까지 적발된 '서울시'의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 의무제 위반 건수는 4865건이고, '경기도'의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 위반 건수는 1만 1396건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서울, 경기도 부동산 실거래 신고 위반 건수를 합치면 1만 6,261건입니다.
그리고
경기도에서는 성남시가 2033건으로 부동산 실거래 가장 높은 위반 건수를 기록했고,
서울에서는 강서구가 555건으로 가장 높은 위반 건수를 기록했습니다.
위반 사유의 상당수는 거래내역 "미신고, 지연신고"로 조사되었다고 하네요~
흠...
집값 상승이 허위 매물로 호가 상승을 만들었을 가능성도 아주 높아 보입니다.
아마도 이 부분에서 부동산 시장이 더 상승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고점에서 매수하신 분들도 있을 거고요ㅠ;
다시 부동산 시장이 좋아질 때,
당하지 않으려면...
내가 관심 있는 지역의 '임장 활동'을 다녀서 피해를 최소화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 22.10.17
728x90
반응형
'돈의 흐름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1차 비상 경제 민생회의 '부동산 규제 완화 예고' (0) | 2022.10.28 |
---|---|
GS건설, 층간 소음 줄이기 위해 "국내 최초 5중 바닥 구조 개발" (0) | 2022.10.27 |
감정평가서 부풀린 '전세 사기' 급증!!! (0) | 2022.10.04 |
경매, 공매로 넘어간 집, 2023년부터 임차인(세입자)의 보증금 피해 최소화하는 방안 발표!!! (0) | 2022.09.30 |
부동산 등기 실무 마지막 수업 날~ (0) | 2022.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