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어졔) 25년 04월 17일 목요일, 동결 (2.75%)을 발표했지만...
금융통화위원 전원이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었습니다.
그리고
시장에서는 5월 29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예상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관세 정책의 변화가 너무 심하고, 향후 협상 가능성도 남아있어서 기준점을 어떻게 정의할지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고,
비유를 하자면...
갑자기 어두운 터널로 들어온 느낌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조금 밝아질 때까지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또한,
올해 연말까지 연 2.25%까지 국내 기준 금리가 낮아질 수 있는 부분이 한은 총재의 발언을 보면...
올해 연말까지 연 2%까지도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미국과의 금리 차이가 있지만...
미국 트럼프 대통령도 금리 인하하는 것을 좋아하기에...
올해까지는 크게 상관없을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리고
미국 상황을 보게 되면...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 파월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내리라고 무언가를 압박을 하고 있지만
연준 파월 의장은 시장의 상황을 보고 금리 인하를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어서..
트럼프 대통령과 파월 의장의 싸움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미국 국채 250억 달러를 팔던 것을 50억 달러로 줄이면서..
양적 긴축 규모를 줄이게 되면...
금리 인하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하는데...
트럼프 대통령과 파월 의장은 쇼를 하는 것인지... 아닌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나라를 대상으로 관세 정치를 펼치고 있고,
그중에서 중국을 아주 견제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머리를 잘 쓰고 있는 게...
중국에서 미국으로 바로 수출하는 품목들은 중국 내 14~15% 밖에 안 된다고 하며,
중국은 여러 국가를 거쳐서 중국에서 수출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서류상 만들어서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는 부분들이 50~70% 정도 되어서...
이 부분에 관련되어서 미국은 어떻게 대응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관세 정치로 인해서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56%에서 42%로 내려갔고,
지지율이 더 내려가게 되면...
관세 정치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 모르겠고,
(관세 정치는 오히려 서민들에게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부분이 있긴 합니다 @.@)
내년(26년) 11월 3일, 미국 상하원 의원 선거일이 있어서...
그때 공화당이 다수를 차지하려면...
선거일 6개월 전에는 관세 정치가 마무리되어야 한다는 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부분을 중국이 예상하고....
대응하고 있는 것이 아닐지 모르겠네요.
# 25.04.18
'돈의 흐름 > 경제 및 금융 , 4차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정보 #15] 올해(25년) 7월 22일부터 대부업 1년 대출 이자가 원금 100% 넘으면 원금과 이자는 안 갚아도 된다 (0) | 2025.04.22 |
---|---|
[경제] 올해(25년) 4월 3일 새벽 5시, 미국은 우리나라의 상호 관세 25% 적용 발표!!! (0) | 2025.04.04 |
25년 03월 미국 기준 금리 동결 (4.5%) - 양적긴축이란?! (0) | 2025.03.21 |
[금융 정보 #14] 올해(25년) 3월 12일부터 금융사 비대면 계좌개설 차단 서비스 시행된다 (0) | 2025.03.19 |
내년(26년)부터 일부 고등학교에서의 교육으로 '금융과 경제생활' 선택과목이 추가 신설된다 (0) | 2025.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