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25년) 4월 3일 새벽 5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로즈가든에서의 연설에서 국가별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전격적으로 발표를 했습니다.
국가별 상호 관세율을 보면...
베트남 46%, 태국 36%, 중국 34%, 대만 32%, 스위스 31%,
남아프리카공화국 30%, 인도 26%, 한국 25%, 일본 24%,
EU(유럽연합) 20%, 요르단 20%, 이스라엘 17%, 영국 10% 등등으로 나왔습니다.
우리나라의 주요 대미 수출 품목은 자동차, 반도체, 석유제품, 배터리 등이며
자동차와 자동차 주요 부품이 미국 외 지역에서 생산되면 관세 25%를 적용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3월 24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미국에 향후 4년 동안 약 31조 원의 신규 투자한다고 말했고...
현재 미국에서 연간 30만 대에서 50만 대로 늘려서 최종적으로 연간 총 120만 대까지 생산하는 것을 올리면...
현대차, 기아차의 작년(24년) 미국 내 판매량이 170만 대라서 관세 25% 적용된 부분을 회사 영업이익 조금 내면서 버틸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대차, 기아차 주가의 향방은 잘 모르겠네요 @.@)
또한,
베트남이 46% 고관세율이 나옴으로써...
베트남에 있는 삼성, LG를 비롯한 국내 기업들은 대미 수출에 큰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미국에 수출하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생산량 50%를 베트남에서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ㅠ;
이제 국내 대기업들은 미국의 관세 정치로 인해서 계산기를 두드려 봐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FTA(한미 자유무역협정)가 사실상 백지화되면서 미국과 새로운 통상 협정을 체결해서 관세율을 낮춰야 할 상황이 되었고...
우리가 쓸 수 있는 카드는 미국이 군용배를 만들어달라고 요청했기 때문에 조선주가 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 이전에 사업가이었기 때문에...
우리가 향후 어떻게 협상을 하느냐에 따라서 관세율이 더 낮아질 수도 있고...
유지될 수도 있어 보입니다.
그렇다면...
- 미국의 상황을 한 번 생각해 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외에도 다른 나라에도 많은 관세 부과를 발표를 했지만...
그중에서 중국은 기존 20%에서 34%를 더해서 관세율이 무려 54%라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중국의 제품들이 미국에도 많이 들어가는 걸로 아는데...
이렇게 된다면...
다른 나라의 기업들이 미국의 관세율을 피하기 위해 미국에 공장을 짓고 가동하는 기간 동안...
미국의 저소득층은 타국가의 관세율이 상승되어서...
타국가에서 들어오는 제품의 가격이 올라간다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미국의 경제는 안 좋아지면서 저소득층은 당분간 궁핍한 생활을 해야 될 수도 있어 보입니다.
(어느 나라건 고소득층에게는 큰 피해는 없을 겁니다.)
트럼프가 원하는 미국 금리 인하가 조금 더 빠르게 진행 될지도 모르겠죠 @.@
# 25.04.04
.
'돈의 흐름 > 경제 및 금융 , 4차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03월 미국 기준 금리 동결 (4.5%) - 양적긴축이란?! (0) | 2025.03.21 |
---|---|
[금융 정보 #14] 올해(25년) 3월 12일부터 금융사 비대면 계좌개설 차단 서비스 시행된다 (0) | 2025.03.19 |
내년(26년)부터 일부 고등학교에서의 교육으로 '금융과 경제생활' 선택과목이 추가 신설된다 (0) | 2025.03.06 |
25년 02월 국내 기준 금리 25bp 인하 (2.75%) (0) | 2025.02.26 |
25년 01월 미국 기준 금리 동결 (4.5%) (0) | 2025.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