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의 흐름/경제 및 금융 , 4차산업

24년 9월 미국 기준 금리 4년 반 만에 50bp 인하 (5.0%)

by Rance_랭스 2024. 9. 20.
728x90
728x90



어제( 24년 9월 19일 목요일 새벽),   미국 Fed(연방준비제도)는 4년 반 만에 과감하게 50bp 인하를 한다고 발표를 했습니다.

(저는 25bp 인하를 예상했는데.. 틀렸네요 @.@)



9월 점도표 상에는 6월 점도표와 다른 점이 있었는데요...
올해 최종 금리가 5.1%에서 4.4%로 변경이 되어서~
100bp 인하 예정으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파월 의장은 이번에 왜 50bp 인하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7월 회의 이후에 여러 경제지표를 고려해서 그때 내리지 못한 금리를 맞춰서 내렸다는 말을 했습니다.
 


이 발언을 봤을 때는 데이터를 보고 그때그때 결정할 것이라는 점을 유추할 수 있게 되었네요~



그리고
9월 점도표의 25년도 예상은 100~125bp 인하해서 3.25~3.5%로 변경되었지만...
파월 의장이 경제지표 데이터를 보고 결정한다고 했으니...
금리 인하는 있겠지만...
점도표는 점도표일 뿐이라고 생각해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미국이 50bp를 내리면서...
우리나라는 한미 금리차가 1.5%로 줄었지만...
가계부채 증가와 서울, 수도권 부동산 가격에 따라서 한은은 다가오는 10월 11일 금리 발표일에 금리를 내릴지, 동결을 할지에 대한 선택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 생각에는 10월에 금리를 안 내리면 올해 마지막 11월 28일에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한은이 계속 금리를 동결을 할 수 없는 점은...
미국은 올해 남은 2차례 금리 발표에서 25~50bp 인하를 할 것이고,
내년에도 계속 미국 금리를 내리게 되니... 
우리나라도 서울, 수도권의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금리를 내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 것으로 보이고...
서울, 수도권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이 계속 이어질지...
지방 부동산도 금리 인하의 영향으로 상승 분위기로 넘어가는지에 대해서 지켜보는 재미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번외) 코인 대세상승장이 와서 수익을 내서 지방 아파트를 구입해야 하는데...
대세상승장이 오기 전에...
지방 부동산도 상승세로 넘어가면 머리가 조금 아플 것 같기는 하네요 @.@
그리고
계속 경제 상황을 지켜보면서 유동성 있게 대응해야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한 채의 아파트를 보유하려고 하는 이유는...
현재 여당, 야당을 떠나서 국회의원들을 못 믿기 때문이죠...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의 사례에서 보면...
만약에... 
국회의원들이 잘못된 정치를 해서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오면...
원화 화폐의 가치는 종잇조각이 될 수도 있고...
그때는 비싼 아파트가 아니더라도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 한 채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 24.09.20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