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24년) 8월 1일 오전 6시 15분경, 인천 서구 청라동 모 아파트 지하 1층 주차장에서 벤츠 전기차로 추정되는 차량에서 화재가 나서 소방관 177명과 배연 차량 등 장비 80대를 투입해서 5시간 39분 만에 불길을 잡았다고 합니다.
건물 밖에서 전기차 화재가 나서 소방대원이 진화하는데 30~4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니...
지하주차장은 더 오래 걸린다고 봐야 됩니다.
그리고
불이 난 차량 주변으로 연소가 확대되어 주차장에 있던 차량 70여 대가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되고, 입주민 16명이 연기를 흡입해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생명에는 큰 지장이 없는 상태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괜찮아서 다행이네요~~
그리고
전기차는 아직 위험하다고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전기차 하부에는 전기차를 움직이기 위한 배터리팩이 장착이 되어 있습니다.
이 배터리팩은 운전자가 차량을 작동시키면 전기를 이동시켜 전기 모터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그 이후에
전기 에너지가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차량을 움직이는 원리인데요.
중요한 건,
전기차의 배터리팩의 전기 용량이 상당히 크다는 점입니다.
이 배터리팩의 용량은 우리가 사용하는 핸드폰의 2000~3000대 이상의 충전할 수 있는 크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전기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화재가 나면 폭발할 가능성이 크고,
이 큰 전기 에너지가 차량 내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손도 못 써보고 몸에 치명타가 올 가능성이 큽니다.
그 이유는
전기 380V가 우리 몸에 흐르게 되어도 죽을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ㅠ;
(우리가 가정에서 쓰는 전기는 220V입니다. 220V도 간혹 위험할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알려진 전기차 화재 원인에는...
충전기 오작동에 의한 과충전, 배터리 제조 불량, 배터리에 과다한 전력 공급, 배터리 장치 결함으로 인한 과열, 외부 충격, 차량 누전 등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전기차는 피치 못할 일이 아니면 운행 또는 동승은 안 하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24.08.03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11] 올해(24년) 10월 25일부터 음주운전 방지 장치 의무화 제도 시행된다. (2) | 2024.10.20 |
---|---|
[자동차 #10] 급가속 사고 막기 위해 자동차 페달 오조작 방지 시스템 개발 (2) | 2024.10.05 |
[자동차 #8] 차량 페달 블랙박스도 이제 필요한 것일까?! (0) | 2024.07.16 |
[자동차 #7] 자율주행차의 자율주행 레벨이란?! (0) | 2024.07.07 |
[자동차 #6] 일부 고속도로 구간의 하이패스 단말기 없이 하이패스 이용할 수 있게 1년간 시범 사업 추진 (0) | 2024.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