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500명의 시민 대표단을 대상으로 3차례에 걸쳐 진행한 공론화 설문조사 결과를 24년 4월 22일 발표를 했습니다.
- 1안은 소득대체율을 현행 40%에서 50%로 높이고, 보험료율을 9%에서 13%으로 인상하는 방안
(연금 고갈 2061년 예상)
- 2안은 소득대체율을 40%로 유지하고 보험료율만 12%로 올리는 방안
(연금 고갈 2062년 예상)
2가지의 선택지에서 고르는 것이었고...
응답자 492명 중에서 56%가 1안을 선택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1안과 2안을 어느 것을 선택해도 연금 고갈 시기는 1년 밖에 차이가 나지 않고,
현재 2055년에 연금 고갈 시기가 예정인데...
1안이든, 2안이든 6~7년 밖에 안 늘어난다는 점입니다.
1안, 2안 누구의 관점에서 만든 것일까요?!
그리고
시민 대표단은 누가 시민 대표단으로 선정했는지도 의문이네요~
또한,
2030세대들은 국민연금을 납부해도 받지도 못하고,
받더라도 더 늦은 나이에 받기 때문에 국민연금 내는 걸 반대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 부분이 들어가지 않은 것 같다는 느낌이 드네요 @.@
그리고
야당은 연금 개정안 입법 속도를 21대 국회 임기 내 입법을 해야 한다는 말을 하였고,
4월 22일 설문조사가 공개된 뒤 민주당에서는 별도 입장 발표를 통해서 21대 국회 내에 최대한 입법 성과가 나올 수 있게 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고 합니다.
반대로,
여당은 국민연금뿐만 아니라 기초연금과 퇴직연금, 사학연금 등 전체 연금 체계 구조 자체를 바꾸는 큰 틀에서의 구조개혁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입장입니다.
만약에,
국회에서 연금 개혁안 1안이 통과되면...
현재 20세 이하의 미래 세대의 국민연금 납부 부담이 급증한다고 합니다.
2005년생은 14.8%,
2015년생은 22.2%,
2025년생은 29.6%,
2035년생은 36.1%로 보험료율이 늘어나게 됩니다.
지금도 결혼도 잘 안 하고,
출산율도 계속 낮아지고 있는데...
더 안 하게 되는 국민연금 개혁안이 나오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
그리고
의석수가 많은 야당은 이번 국민연금 개혁안을 원해서 통과가 될 가능성도 높긴 하지만...
국회에서 이번 연금 개혁안이 통과가 안 되길 바랄 뿐입니다.
# 24.04.24
'초고령사회(노후+건강+보험+의료)+저출산 > 국민연금+일반 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 #2] 실버타운 들어가도 주택연금도 받고, 비운 집 월세, 전세도 가능해진다 (1) | 2024.06.23 |
---|---|
[연금 #1] 국민연금 지역가입자(납부예외자) 50% 지원 제도 신청 (0) | 2024.06.18 |
국민연금 개혁안 어떻게 흘러갈까?! (feat.국민연금 소득 대체율, 물가 상승률 반영) (32) | 2023.09.10 |
국민연금 기존 수령 vs 조기 수령 어느 것이 나에게 유리할까?! (0) | 2023.02.08 |
국민연금 개정안 2023년도 예정~ (0) | 2023.02.05 |
댓글